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맞춤법11

[맞춤법] 할인율 vs 할인률 할인율 vs 할인률올바른 맞춤법 할인율 vs 할인률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할인율'할인율'이라는 표현은 할인을 받는 비율을 뜻하는데,'비율'의 뜻을 더하기 위해 접미사 '-율'을 붙여 만든 단어입니다.그러나 접미사 ‘-율’은 ‘-률’로 쓰는 경우가 있어 헷갈리기 쉬운데요.한글 맞춤법에 따라 올바른 표기법은 '할인율'입니다. 한글 맞춤법 제11항은 “한자음 ‘라, 려, 례, 료, 류, 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두음 법칙에 따라 ‘야, 여, 요, 유, 이’로 적는다.”라고 규정하였습니다. 그러나 모음이나 ‘ㄴ’ 받침 뒤에 이어지는 ‘렬, 률’은 ‘열, 율’로 적도록 규정하였습니다.이는 한자음의 경우에만 해당되는 규정으로 ‘할인율(割引率)’의 경우‘ㄴ’ 받침으로 끝나는 단어 뒤에 비율의 뜻을 더하.. 2024. 5. 20.
[구렛나루 VS 구레나룻] 맞춤법 정답알기 구렛나루 VS 구레나룻 '구레나룻' 하면 엘비스 프레슬리가 딱 떠오르는데요, 헤어디자인에서 자주 사용하는 구레나룻 구레나룻이 맞을까요 구렛나루가 맞을까요? 구레나룻 어원 '구레나룻'은 수염의 한 종류라고 하는데요, 여기에도 어원이 있습니다. '구레'는 소나 말의 목에서 고삐에 걸쳐 얽어매는 줄인 굴레에서 ㄹ이 탈락한 옛말입니다. 그리고 '나룻'은 수염을 뜻하는 순우리말입니다. 즉, 구레와 나룻이 합쳐져 이루어진 합성어입니다. '구레나룻'은 굴레처럼 난 수염이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구렌나루'와 '구렛나루'로 쓰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는 모두 표준어가 아닙니다. 정답은? '구레나룻'이 맞는 표현입니다. '구레나룻'은 귀밑에서 턱까지 잇따라 난 수염이란 뜻으로 소나 말의 머리와 목에서 고삐에 걸쳐 얽어내는.. 2024. 1. 12.
[높이다 VS 높히다] (높여 높혀 높였다 높혔다) 간단한 맞춤법 알아보기 높이다 VS 높히다 오늘은 아주 간단한 맞춤법입니다. 높이다 와 높히다 높여 높혀 높였다 높혔다 어느게 맞는 표현일까요? 쉽고 간단하게 알아봅시다. 높이다 높다의 형용사에 사동 접사 -이-를 붙여 만든 높이다. 1. 동사 아래에서 위까지의 길이를 길게 하다. ‘높다’의 사동사. 2. 동사 아래에서부터 위까지 벌어진 사이를 크게 하다. ‘높다’의 사동사. 3. 동사 수치로 나타낼 수 있는 온도, 습도, 압력 따위를 더 높은 수준에 있게 하다. ‘높다’의 사동사. 높히다 -이, -히의 사용에서 잘못된 사동 접사가 붙은 경우인데요. 높히다의 경우는 우리말에 없습니다. 정답은? 따라서 정답은 '높이다'가 정답입니다. 2023.08.31 - [영어, 용어] - 맞춤법 - 개수와 갯수 맞춤법 - 개수와 갯수 개수와.. 2023. 12. 11.
어려운 맞춤법 드러나다 VS 들어나다 0. 드러나다 VS 들어나다 자주 헷갈리는 표현 드러나다 VS 들어나다 어느 게 맞는 표현일까요? 1. 드러나다 1.동사 가려 있거나 보이지 않던 것이 보이게 되다. 2.동사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널리 밝혀지다. 3.동사 겉에 나타나 있거나 눈에 띄다. '드러나다'는 가려져있거나 보이지 않던 것이 보이게 되는 것을 표현하는 단어입니다. 2. 들어나다 '들어나다'는 표준어로 등재되지 않은 단어입니다. ‘드나들다’의 방언 (제주)으로 사용된다고 하네요! 3. 정답은? 그래서 정답은? '드러나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2023.08.31 - [영어, 용어] - 맞춤법 - 개수와 갯수 맞춤법 - 개수와 갯수 개수와 갯수 대각선의 개수 or 대각선의 갯수? 수량을 나타낼 때 쓰는 표현은 개수 또는 갯수 어느 게 맞.. 2023. 11. 17.
맞춤법 - 개수와 갯수 개수와 갯수 대각선의 개수 or 대각선의 갯수? 수량을 나타낼 때 쓰는 표현은 개수 또는 갯수 어느 게 맞는 표현일까요? 정답은? 흔히 '갯수'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개수'라고 적어야 합니다. 한글맞춤법 제4장 제30항 '사잇소리'에 규정에 우리말과 우리말 합성어, 우리말과 한자어 합성어 사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개수는 발음상 [개:쑤]로 읽히나 한자어라는 점에서 사이시옷을 붙여 쓰지 않습니다. 따라서 개수가 정답입니다. 다른 맞춤법도 알아볼까요? 맞춤법 - 개수와 갯수 개수와 갯수 대각선의 개수 or 대각선의 갯수? 수량을 나타낼 때 쓰는 표현은 개수 또는 갯수 어느 게 맞는 표현일까요? 정답은? 흔히 '갯수'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개수.. 2023. 8. 31.
맞춤법 - 회수와 횟수 '회수'와 '횟수' 1회 2회 3회 등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횟수 또는 회수! '회수'가 맞는 표현일까요, '회수'가 맞는 표현일까요? 회수 '회수(回收)'는 '도로 거두어들임'이라는 뜻의 명사 횟수 '횟수(回數)'는 '돌아오는 차례의 수효'를 나타내는 명사 결론은? 둘 다 맞는 표현이지만 몇 회 인지의 돌아오는 차례의 수효를 나타낼 때에는 횟수가 맞는 표현입니다. 두 음절의 한자어에는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장 제30항 '사잇소리'에 규정에 우리말과 우리말 합성어, 우리말과 한자어 합성어 사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예외로 곳간, 셋방, 툇간, 횟수, 숫자, 찻간의 표현이 있으며 위의 5가지 외의 표현들은 모두 사이.. 2023. 8. 31.
자기개발 VS 자기계발, 어떤 맞춤법 표현이 맞을까? 자기개발 VS 자기계발 자기개발 도서, 자기계발 강사 등이라고 할 때 자기계발이 맞을까, 자기개발이 맞을까요? 어떤 곳에서는 자기계발이라고 쓰고, 어떤 곳에서는 자기개발이라고 사용하는데 쓸 때마다 헷갈리는 이 표현 정답이 뭘까요? 정답은? 표현 의도에 따라 모두 맞는 표현입니다. '자기 개발'은 '본인의 기술이나 능력을 발전시키는 일'을 뜻하고, '자기 계발'은 '잠재하는 자기의 슬기나 재능, 사상 따위를 일깨워 줌'을 뜻합니다. '개발'은 '지식이나 재능 따위를 발달하게 함'을, '계발'은 '슬기나 재능, 사상 따위를 일깨워 줌'을 뜻한다는 점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2023. 8. 27.
맞춤법 세우다 VS 새우다 무슨 차이? 0. 새우다와 세우다는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밤을 새우다? 밤을 세우다?허리를 새우다? 허리를 세우다?  1. 세우다동사 몸이나 몸의 일부를 곧게 펴게 하거나 일어서게 하다. ‘서다’의 사동사.머리를 꼿꼿이 세우다.처져 있던 것을 똑바로 위를 향하여 곧게 하다. ‘서다’의 사동사.볏을 세운 싸움닭. 계획, 방안 따위를 정하거나 짜다. ‘서다’의 사동사.계책을 세우다.  2. 새우다동사한숨도 자지 아니하고 밤을 지내다.밤을 새워 공부하다. 3. 정답은?밤을 새우다허리를 세우다가 맞는 표현이네요!  2023.11.17 - [영어, 용어] - 어려운 맞춤법 드러나다 VS 들어나다 어려운 맞춤법 드러나다 VS 들어나다0. 드러나다 VS 들어나다 자주 헷갈리는 표현 드러나다 VS 들어나다 어느 게 맞는 표현일까요.. 2023. 8. 23.
맞춤법 / 둘 다 맞는 말? 헛갈리다 VS 헷갈리다 헛갈리다 VS 헷갈리다 일상속 자주 쓰이는 표현 헷갈리다! 그런데 종종 헛갈리다 라는 표현도 눈에 보이는데 어느 표현이 맞을까요? 헛-갈리다 [ 헏깔리다 ] 헛갈리어(헛갈려) [헏깔리어(헏깔려),헏깔리여] 헛갈리니 [헏깔리니] 어원 ←헛-+가르-+-이- 동사 1. 정신이 혼란스럽게 되다. 느닷없이 딴소리를 하곤 하는 것은 마음이 줄곧 방심이 되고 헛갈리고 하는 표적이었을 것이다. 2. 여러 가지가 뒤섞여 갈피를 잡지 못하다. 공연 순서가 헛갈리다. 헷-갈리다 [ 헫깔리다 ] 헷갈리어(헷갈려) [헫깔리어(헫깔려),헫깔리여] 헷갈리니 [헫깔리니] 동사 1. 정신이 혼란스럽게 되다. 그 처자는 지금 정신이 헷갈려서 허방으로 가고 있는데 그냥 둘 수 없잖아? 2. 여러 가지가 뒤섞여 갈피를 잡지 못하다. 몹시 .. 2023. 8. 19.
네모나게O 네모나케X 네모낳게X - 맞춤법 네모나게 VS 네모나케 VS 네모낳게 네모나다 [네ː모나다] 형용사 모양이 네모꼴로 되어 있다. 얼굴이 네모나 보이는 사내. '네모나다'라는 형용사가 있다. 따라서 네모나다 [네ː모나다] 네모나게 [네ː모나게] 가 맞는 표현이다. 네모낳게 네모나케는 틀린 표현! 2023. 7. 31.
다행히O 다행이X - 맞춤법 다행히 VS 다행이 [국어사전] 다행히 (多幸히) 뜻밖에 일이 잘되어 운이 좋게. '다행히'가 맞는 표현이다. '다행이'는 다행이네 다행이게도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2023. 7. 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