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국어4 [구렛나루 VS 구레나룻] 맞춤법 정답알기 구렛나루 VS 구레나룻 '구레나룻' 하면 엘비스 프레슬리가 딱 떠오르는데요, 헤어디자인에서 자주 사용하는 구레나룻 구레나룻이 맞을까요 구렛나루가 맞을까요? 구레나룻 어원 '구레나룻'은 수염의 한 종류라고 하는데요, 여기에도 어원이 있습니다. '구레'는 소나 말의 목에서 고삐에 걸쳐 얽어매는 줄인 굴레에서 ㄹ이 탈락한 옛말입니다. 그리고 '나룻'은 수염을 뜻하는 순우리말입니다. 즉, 구레와 나룻이 합쳐져 이루어진 합성어입니다. '구레나룻'은 굴레처럼 난 수염이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구렌나루'와 '구렛나루'로 쓰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는 모두 표준어가 아닙니다. 정답은? '구레나룻'이 맞는 표현입니다. '구레나룻'은 귀밑에서 턱까지 잇따라 난 수염이란 뜻으로 소나 말의 머리와 목에서 고삐에 걸쳐 얽어내는.. 2024. 1. 12. 어려운 맞춤법 드러나다 VS 들어나다 0. 드러나다 VS 들어나다 자주 헷갈리는 표현 드러나다 VS 들어나다 어느 게 맞는 표현일까요? 1. 드러나다 1.동사 가려 있거나 보이지 않던 것이 보이게 되다. 2.동사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널리 밝혀지다. 3.동사 겉에 나타나 있거나 눈에 띄다. '드러나다'는 가려져있거나 보이지 않던 것이 보이게 되는 것을 표현하는 단어입니다. 2. 들어나다 '들어나다'는 표준어로 등재되지 않은 단어입니다. ‘드나들다’의 방언 (제주)으로 사용된다고 하네요! 3. 정답은? 그래서 정답은? '드러나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2023.08.31 - [영어, 용어] - 맞춤법 - 개수와 갯수 맞춤법 - 개수와 갯수 개수와 갯수 대각선의 개수 or 대각선의 갯수? 수량을 나타낼 때 쓰는 표현은 개수 또는 갯수 어느 게 맞.. 2023. 11. 17. 맞춤법 - 개수와 갯수 개수와 갯수 대각선의 개수 or 대각선의 갯수? 수량을 나타낼 때 쓰는 표현은 개수 또는 갯수 어느 게 맞는 표현일까요? 정답은? 흔히 '갯수'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개수'라고 적어야 합니다. 한글맞춤법 제4장 제30항 '사잇소리'에 규정에 우리말과 우리말 합성어, 우리말과 한자어 합성어 사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개수는 발음상 [개:쑤]로 읽히나 한자어라는 점에서 사이시옷을 붙여 쓰지 않습니다. 따라서 개수가 정답입니다. 다른 맞춤법도 알아볼까요? 맞춤법 - 개수와 갯수 개수와 갯수 대각선의 개수 or 대각선의 갯수? 수량을 나타낼 때 쓰는 표현은 개수 또는 갯수 어느 게 맞는 표현일까요? 정답은? 흔히 '갯수'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개수.. 2023. 8. 31. 맞춤법 - 회수와 횟수 '회수'와 '횟수' 1회 2회 3회 등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횟수 또는 회수! '회수'가 맞는 표현일까요, '회수'가 맞는 표현일까요? 회수 '회수(回收)'는 '도로 거두어들임'이라는 뜻의 명사 횟수 '횟수(回數)'는 '돌아오는 차례의 수효'를 나타내는 명사 결론은? 둘 다 맞는 표현이지만 몇 회 인지의 돌아오는 차례의 수효를 나타낼 때에는 횟수가 맞는 표현입니다. 두 음절의 한자어에는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장 제30항 '사잇소리'에 규정에 우리말과 우리말 합성어, 우리말과 한자어 합성어 사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예외로 곳간, 셋방, 툇간, 횟수, 숫자, 찻간의 표현이 있으며 위의 5가지 외의 표현들은 모두 사이.. 2023. 8. 31.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